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 등을 발굴하여 제안하고 드론 활용 모델 및 서비스를 실증
|
활용분야가 다양한 산업용 드론의 특성을 고려해 도심 내 드론 활용 및 실증 등이 가능한 지역 특성에 맞는 실증도시 발굴 및 사업 지원
|
|
규제개선
|
실용화 및 조기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는 사업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
|
사업자는 항공안전법 제129조제5항에 따라 특별비행승인 등에 대한 일부 간소화된 절차로 비행승인을 받아 시험·실증이 가능
|
|
사업방향
|
‘실제 수요창출 상용화 및 사업화’를 핵심목표로 하여, 실제 수요처와의 연계·조기상용화 등 현장적용을 위한 연구
|
드론 기술 시험·실증 및 검증을 통해 드론 활용 분야 확대 및 활성화 유도
|
드론사고 및 위험성에 대한 국민의 우려 불식 등을 유도하고 드론 활용에 대한 국민체감도 제고
|
|
[드론 실증도시 사업분야 예시]
|
드론 실증도시 사업분야 예시 이미지 안내
|
|
|
|
드론안전맵 구축 |
긴급구호물품 배송 |
긴급배송 드론 |
긴급 소방 재난ㆍ재해 대응 |
|
|
|
|
수질환경 모니터링 |
도심지 대기환경 및 교통관리 모니터링 |
시설물 안전점검 |
AI 적용 기술 |
|
|
사후관리
|
시험·실증성과가 우수한 제품은 조달 혁신제품 등록(조달청 패스트트랙Ⅲ) 및 공공기관 우수제품 우선구매 매칭 지원
|
|
실증도시 역할분담
|
실증도시 역할분담 지방자치단체, 참여사업자 안내
지방자치단체(대표사업자) |
참여사업자 |
공역, 지상인프라, 기타 시설 및 행정지원
|
상용화 및 사업화 달성을 위한 사업관리(목표・성과지표 설정 등)
|
사업 안전관리, 예산계획 검토・조정・배분
|
비행시험을 위한 지상기반시설 유지·보수 및 보안관리
|
실증 결과를 반영하여 해당 지역 지속적 드론활용 상용화·사업화 적극 유도
|
실증사업 종료 후 2년간 실증결과 활용현황, 제품판매 등 성과 제출
|
박람회 및 심포지엄을 통한 사업 활용계획, 성과물 전시 및 시연
|
실증 사업 성과 확산을 위한 적극 홍보
|
지역 내 사업활동 수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민원 해결 등
|
|
상용화 및 사업화 달성을 위한 성과지표 설정
|
사업 수행에 필요한 참여인력, 시설 확보 및 행정지원
|
사업관리 및 진행현황 보고
|
비행시험 운영 및 안전관리
|
실증사업 종료 후 2년간 실증결과 활용현황, 제품판매 등 성과 제출
|
박람회 및 심포지엄을 통한 사업 활용계획, 성과물 전시 및 시연
|
|
|